반응형
목차
1. 용어 모음집
1. 프로그래밍 명명규칙(Casing)
- 각각의 언어, 환경에 알맞는 명명 규칙이 존재.
- snake_case
- Python 이나 DB Table, Column에 사용됨.
- 문자와 문자 사이를 _ 언더바로 이어줌.
- 모든 단어는 소문자이거나 대문자임.
- camelCase
- Java, Java Script, TypeScript에서는 변수, 함수, 메서드 이름을 만들 때 사용.
- 문자와 문자 사이를 대문자를 이어줌.
- PascalCase
-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클래스 이름을 지정하는 데 파스칼 케이스 사용됨.
- 문자의 처음 시작을 대문자로 함.
- 문자와 문자 사이를 대문자로 이어줌.
- kebab-case
- 문자와 문자 사이를 - 대시로 이어줌.
- 모든 단어는 소문자.
2. JSON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양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사용하는 언어에 관계 없이 통일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줌.
- 요약
- JSON은 사람,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쉬우며 용량이 작음.
- XML을 대체해서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사용.
- 마치 전세계 공통어로 영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Web의 세계에서는 JSON을 공통어로 사용함.
- 클라이언트 to 서버의 통신에 JSON 사용.
- 서버 to 서버의 통신에도 JSON 사용.
-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 아주 작은 단위로 서비스를 잘게 나누어 운영하는 아키텍쳐.
- JSON 형태로 데이터 통신.
- JSON 구조
{
"user": [
{
"first_name": "wonuk",
"last_name": "Hwang",
"age": 100,
"phone_agree": false,
"hobby": ["Java", "Spring"]
},
{
"firstName": "sparta",
"lastName": "Team",
"age": 200,
"phone_agree": true,
"hobby": ["React", "Spring", "Node"]
},
]
}
- snake_case, camelCase 모두 사용 가능.
- 우리가 만드는 Application 내에 변환해주는 무엇인가 있음.
- key-value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
- null, number, string, array, object, boolean 형태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
3. Scale Up, Scale Out
- 서버의 성능 향상을 위한 두 가지 방법.
- Scale Up
- 수직적 확장.
- 단일 서버의 하드웨어의 사용을 높임.
- 요청에 대한 처리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만듦.
- Scale Out
- 수평적 확장.
- 같은 사양의 서버(인스턴스)를 여러 대 배치.
- 동시에 더 많은 사용자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듦.
반응형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24 TIL - HTTP(1) (2) | 2025.03.24 |
---|---|
25.03.21 TIL - 용어 모음(2) (2) | 2025.03.21 |
25.03.19 TIL - Web (2) | 2025.03.19 |
25.03.18 TIL - 네트워크 (5) | 2025.03.18 |
25.03.17 TIL - 람다식 (2)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