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3 - 1 : 예외와 예외처리
1. 예외
- 프로그램 실행 중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
-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킬 때에는 throw 키워드를 통해 발생시킴.
- 예외를 처리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중단될 수 있음.
- 예외처리(try~catch)를 통해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할 수 있음.
* 예외 발생 예제
- 의도하지 않은 예외.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시작");
int result = 10 / 0; // ❌ 예외 발생 (ArithmeticException)
System.out.println("이 문장은 실행되지 않음");
}
}
- 예외를 처리하지 않으면 이후 코드는 실행되지 않음.
* 의도한 예외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10;
if (age < 18) {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키는 부분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미성년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
System.out.println("....");
}
}
2. 예외 구조와 종류
- RuntimeException - UncheckedException
-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는 모든 예외를 UncheckedException이라고 함.
- 예외처리를 컴파일러가 확인하지 않음.
- Exception - CheckedException
- Exception 클래스를 직접 상속받는 모든 예외를 CheckedException 이라고 함.
- RuntimeException과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은 예외는 제외.
- 예외처리를 컴파일러가 확인함.
- Exception 과 RuntimeException 모두 Throwable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음.
- Runtime Exception도 Exception을 상속 받지만 따로 놓고 봐야함
→ NullPointerException, ArithmeticException
3. 예외 전파
- 메서드에서 발생한 예외가 해당 메서드 내에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메서드를 호출한 상위 메서드로 전달되는 과정.
- 예외가 프로그램 시작 지점(main())까지 전파되고 끝내 처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됨.
A) RuntimeException - UncheckedException
-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를 강제하지 않는 예외.
- 예외 처리를 하지 않아도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
- 처리되지 않은 예외는 계속 프로그램 시작 지점까지 전파됨.
- 끝내 예외가 처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
-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는 모든 예외를 UncheckedException 이라고 함.
1) try - catch 활용
예시)
public class ExceptionPractice {
// 1. 언체크 예외 호출 예시
/*
public void callUncheckedException(){
if(true){
System.out.println("언체크 예외 발생");
throw new RuntimeException();
}
}
*/
public void callUncheckedException(){
// try블럭 안에 예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로직을 넣음.
// 예외 발생 시 상위 메서드로 바로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전에 catch 블럭으로 이동.
try{
if(true){
System.out.println("언체크 예외 발생");
throw new RuntimeException();
}
// catch 블럭 안에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게 존재하는지 체크하기.
// 현재 catch 블럭 안에 같은 예외가 작성되어 있음. -> 이대로 예외처리.
// catch 블럭은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음.
// try 문 안에서 발생하는 예외 2개를 처리하겠다.
}catch(RuntimeException e){
// 예외 처리 방식을 정의해두었기 때문에 에러는 발생하지 않게 됨.
System.out.println("언체크 예외 처리");
}/*catch (Exception e){
System.out.println("체크 예외 처리");
}*/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의도하지 않은 예외
/*int ret = 10 / 0;
System.out.println("ret = " + ret);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2. 의도적인 예외 - throw
/*int age = 10;
if(age < 18){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미성년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
// 3. 언체크 예외 호출
// 예외가 발생한 시점에 프로그램이 비정상적 종료가 됨. -> 예외를 처리해주지 않았기 때문.
// 예외 발생 시 상위로 전파됨. 먼저 메서드 내에서 예외가 발생했기 때문에 메서드 내에서 예외처리를 해야하는데 하지 않았음.
// 그러면 메서드를 부른 main으로 전파하게 되는데 main 쪽에서조차 예외처리를 하지 않음.
// 그러면 이제 예외가 발생하면서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게 됨.
ExceptionPractice exceptionPractice = new ExceptionPractice();
exceptionPractice.callUncheckedException();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정상흐름으로 돌아와서 출력됨.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
- 메서드 내부에서 예외 처리하지 않고 바로 상위 메서드에서 처리도 가능함.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의도하지 않은 예외
/*int ret = 10 / 0;
System.out.println("ret = " + ret);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2. 의도적인 예외 - throw
/*int age = 10;
if(age < 18){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미성년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
// 3. 언체크 예외 호출
ExceptionPractice exceptionPractice = new ExceptionPractice();
try{
exceptionPractice.callUncheckedException();
} catch(RuntimeException e){
System.out.println("언체크 예외 처리");
}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정상흐름으로 돌아와서 출력됨.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
* 예외를 메서드 내에서 처리해주지 않아 예 외가 발생하면 상위 메서드로 전파된다.
* 예외는 try ~ catch 문으로 처리할 수 있음.
B) Exception - CheckedException
- Exception 클래스를 직접 상속받는 모든 예외를 CheckedException 이라고 함.
※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는 예외는 제외.
-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를 강제하는 예외임.
- 예외 처리를 하지 않으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코드에 빨간줄)
- 반드시 try - catch로 예외를 처리하거나 throws 키워드를 사용해야함.
→ throws로 예외 처리의 책임을 호출자에게 전가할 수 있음.
1) try - catch 활용
- CheckedException을 try - catch 를 사용하여 직접 처리하는 방식.
ExceptionPractice.java
// 2. 체크 예외 호출 예시
public void callCheckedException(){
try{
if(true){
System.out.println("체크 예외 발생");
// Exception은 체크 예외라서 컴파일이 확인하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오류가 뜸!!
throw new Exception();
}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체크 예외 처리");
}
Main.java
// 4. 체크 예외 호출
exceptionPractice.callCheckedException();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2) throws 활용
- throws 키워드를 사용하여 예외를 호출한 곳에서 처리하도록 강제하는 방식 → (책임 전가)
ExceptionPractice.java
// 2. 체크 예외 호출 예시
// 이 예외는 메서드를 호출한 상위 메서드에서 직접 예외처리를 할 것이라고 선언하는 것.
public void callCheckedException() throws Exception{
if(true){
System.out.println("체크 예외 발생");
throw new Exception();
}
Main.java
// 4. 체크 예외 호출
try{
exceptionPractice.callCheckedException();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체크 예외 처리");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정리]
- 예외가 발생하고 처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기 때문에 꼭 예외 처리는 필수.
- CheckedException은 컴파일러를 통해 개발자에게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예외를 알려줄 수 있음.
- UncheckedException은 개발자가 충분히 예측하고 방지할 수 있는 경우 사용.
→ 숫자를 0으로 나누는 오류 등은 코드 검토로 충분히 예방 가능함.
→ 이런 예외 처리까지CheckedException으로 처리하도록 강제한다면 모든 예외 상황을 처리해야 하는 답답한 상황이 벌어져 개발 생산성이 저하되고 불필요한 코드가 많아질 수 있음.
[실습 과제]
💬 Q1. 로그인 예외처리
💡요구사항
-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습니다.
- 아이디가 “admin”, 비밀번호가 “1234” 가 아니면 로그인 실패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 로그인 실패 시 “로그인 실패!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출력 후 다시 입력을 받습니다.
package chapter3.p1;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while(true){
try{
System.out.print("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String userId = input.next();
System.out.print("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
String userPw = input.next();
login(userId, userPw);
System.out.println("로그인 성공!");
break;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로그인 실패!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continue;
}
}
}
public static void login(String userId, String userPw)throws Exception{
if(!userId.equals("admin") || !userPw.equals("1234")){
throw new Exception();
}
}
}
정답)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while (true) {
try {
System.out.print("아이디 입력: ");
String username = scanner.next();
System.out.print("비밀번호 입력: ");
String password = scanner.next();
login(username, password); // 예외 발생 가능
System.out.println("로그인 성공!");
break;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getMessage());
}
}
}
public static void login(String username, String password) throws Exception {
if (!username.equals("admin") || !password.equals("1234")) {
throw new Exception("로그인 실패!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
}
}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12 TIL - 컬렉션 (2) | 2025.03.12 |
---|---|
25.03.11 TIL - Optional, 키오스크 과제 (2) | 2025.03.11 |
25.03.07 TIL - 다형성 (2) | 2025.03.07 |
25.03.06 TIL - 계산기 과제 회고 (2) | 2025.03.06 |
25.03.05 TIL - 캡슐화, 상속, 추상화 (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