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를 마치며.
1. 진행한 일
- 팀 소개 홈페이지 제작
(메인 페이지, 인적사항 페이지, 인적사항 등록 페이지, 인적사항 수정 페이지, 방명록 페이지)
- 개발적인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 고민
2. Keep
( 이번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과정 중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유지했으면 하는 부분)
- 다른 사람의 코드 관련 이슈에 대해서 다같이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것.
- Github를 이용할 때 무작정 push 하는 것이 아니라 pull 한 뒤에 달라진 점 확인하고 push 할 것.
- 각자 도울 수 있는 부분은 도우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한 것.
3. Problem
(문제점 : 이번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판단
해결 방안 : 해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제시)
- 초기 git 연동 시에 git에 익숙하지 않아 충돌 이슈가 있었던 것 → Git 명령어 공부, 오류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즉시 기록하여 오류 발생 시에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 프로젝트 초반 화면 기획 시에 디자인을 상세하게 정하고 시작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홈페이지 디자인이 일관성 있지 못했던 것. → 소통의 부족으로 일어난 일이므로 소통을 자주 하기.
- parameter값을 name값으로 불러온 것(동명이인이 있을 경우 오류 발생) → 불러올 parameter 값을 이름이 아니라 따로 고유하게 사용할 수 있는 key값을 만들어서 값을 넘기기.
- 보안을 위해 API KEY를 공개해서는 안되는 것. → 따로 js 파일을 만들어 API KEY값을 넣고, .gitignore로 API KEY를 숨기기.
4. Try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해야 할 노력)
- Git의 명령어에 대해 좀 더 학습하고, 오류 사유를 명확히 알기.
- 좀 더 많은 소통을 통해 프로젝트 기획 시에 상세한 사항들을 협의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면 오랫동안 고민하지 말고 팀원과 소통하여 해결하거나 튜터님께 질문하기.
- 회의 시간을 명확히 정해두고 주기적으로 회의하기.
- 따 따로 js 파일을 만들어 API KEY값을 넣고, .gitignore로 API KEY를 숨겨서 일어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5. Feel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느낀 점)
- 박○ ○ - 간만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단순한 웹사이트를 만드는 일을 해서 재밌었다. 백엔드 작업을 이전에도 한 적 있지만 항상 DB 다루는 쪽에서 너무 막막했는데 이번 기회에 Firebase를 이용해서 정말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한 것 같다. 이전에 배운 내용들을 튜터님과 팀원분들 덕분에 더 실용적으로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 정 ○ ○ - 팀원분들에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물어보며 진행했는데 정말 감사했다 사전캠프에서 다 알려주지 않은 기능을 구현하려고하니 좀 많이 어렵다 느껴졌고 좀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진 ○ ○ - 프로젝트 기간이 짧아 각자 맡은 페이지를 구현하는 것도 시간이 촉박했다. 디자인을 좀 더 다듬지 못해 아쉬웠지만, 그래도 서로 도울 수 있는 부분은 도우려고 노력해 무사히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 같다.
- 양 ○ ○ - firebase 자체를 처음 써보기도 하고, sql을 쓰지 않는 프로젝트는 처음이라 감을 익히는데에 조금 걸렸다. 수정페이지는 sql을 사용하지 않으니 어떻게 기능을 만들어야할지 감 잡는게 어려웠다. css와 html은 너무 오랜만에 해서 강의를 보고 상기시키는 과정이 오래걸려서 팀원 분들께 죄송했다.
- 정 ○ ○ - 처음 코딩을 배우고 사전캠프에서 학습했던 것을 적용해 보니 다시 복습이 되었고, 모든 것이 처음이어서 팀원들과 달리 프로젝트에 잘 따라가지 못하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많이 부족하다 생각했고 앞으로 성실히 열심히 학습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 TIL 특강
TIL을 하는 이유는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 기록.
학습한 것을 정리하며 이해도를 높이고 복습을 할 수 있어 성장 가능.
비슷한 문제 발생 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 TIL 작성법
TIL 작성에 완벽한 정답은 없다.
1. 일단 하루에 한 번 작성하기
2. 더 잘 써보고 싶어지면 꼼꼼히, 제대로 작성하기.
TIL 주제 정하기
- 오늘 배우고 느낀 것을 작성하면 됨.
1) 학습 초기 - 강의 내용 정리하기
A. 오늘 배운 것.
B. 개념 정리.
C. 해당 개념이 필요한 이유.
D. 사용법.
2) 개발 단계 정리
A. 설치 하기.
B. 초기 세팅하기.
C. 코드 작성하기.
3) 하루 회고
A. 오늘 있었던 일을 정리하기.
B. 오늘 발생했던 일에 대한 느낀 점 작성.
C.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 정리.
4) 문제 해결 과정(권장)
A. 발생한 문제(에러 및 버그)가 무엇인지 작성.
B. 문제가 발생했던 코드 작성.
C. 위 코드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가설 세우기.
D.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작성.
E. 문제 해결 과정 중 느낀 점, 개선 방안이 있으면 작성.
2. TIL 부담 줄이는 법
- 공부, 프로젝트 진행 중 모든 생각과 과정을 동시에 기록하기.
- 기억의 흐름대로 바로바로 작성하고, TIL에 쓸 때 깔끔하게 정리해서 필요한 내용만 뽑아 쓰기.
- 부담이 줄어들고 회고가 가능해짐.
특강 강사님께서 TIL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으로 공부나 프로젝트 진행 중에 모든 생각과 과정을 동시에 기록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강의를 들을 때는 워드 파일로 정리하는 습관이 있어 강의를 듣는 기간에 TIL을 쓰는 것은 걱정이 없었지만,
프로젝트 진행 시에는 코드 고민에 시간을 쓰면서 과정을 기록하는 것을 자꾸 잊고는 했다.
앞으로의 프로젝트 진행 시에 알려주신 방법대로 하면 프로젝트 때에도 TIL 및 프로젝트 회고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25 TIL - Java 변수, 입출력, 연산자 (4) | 2025.02.25 |
---|---|
25.02.24 TIL - Open JDK, intelliJ 설치, Java 기초 (0) | 2025.02.24 |
25.02.20 TIL -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3) (0) | 2025.02.20 |
25.02.19 TIL -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2) (1) | 2025.02.19 |
25.02.18 TIL -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1) (4) | 2025.02.18 |